그래서 아들들 엄마 미안해
아이들에게 문제가 있습니다.
오래되서 기억이 안나네요.
하지만 미안합니다.
사과할게
그녀는 2살 차이로 두 아들을 낳았고 힘든 육아휴직을 겪었다.
직업 군인이자 부부로서 남편과 따로 살았습니다.
군 아파트에 있는 이웃에게 아이를 맡기십시오.
출퇴근 강원도 오지에서 일할 때 부대 내 옛 관사에 살면서 돌봐줄 사람이 없었다.
어려울 때도 있었습니다.
결국 부모는 딸이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큰아이를 데려갔고, 둘째 아이가 태어난 후
두 사람을 돌보며 키웠다.
장남!
유치원 때 어머니가 뺨을 때려서 미안했다.
부모님과 함께 두 아이를 키우고 있었는데 부모님이 많이 힘들어하셔서 무턱대고 큰 아이를 데리고 왔습니다.
돌봐줄 사람이 없어서 어린이집에 보냈어요. 복무나 훈련을 할 때 문제였다.
좋은 이웃의 도움을 받아 남편과 번갈아 가며 아이를 돌봤다.
아이가 6살이었을 때 어린이집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기념품을 사려고 줄을 섰습니다.
여름이라 덥고 따분해서인지 아이는 계속 자리를 비웠다.
사무실에 빨리 도착해야 하는데 화상을 입을 줄도 모르고. 몇 번이나 수다를 떨었지만 계속해서 주문이 밀렸다.
그의 긴장에 화가 난 그는 즉시 아이를 꾸짖고 뺨을 때렸습니다.
아이는 울었고 아이에게 더욱 화를 냈습니다.
가져왔다)
나중에 침대에서 아이가 갑자기 말했습니다.
“엄마, 유치원 때 친구들 앞에서 때려서 얼마나 자존감이 상했는지 아세요?”
그 아이는 기억하고 상처를 입었습니다.
놀랐습니다.
자존심이 상했다고 했을 때…
“그때 엄마 말 안 들었잖아. 엄마 부대로 가야 돼…”
둘째 아들!
그때 욕해서 때려서 미안했어요.
아이는 5살 정도 되었는데 집에 놀러 온 친척에게 작별인사를 하러 가는 길이었다.
아이들이 서로 쓰다듬었나요? 내가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누구에게 그랬는지 몰랐습니다.
“Mr. X”는 깜짝 놀랐습니다.
어디서 그런 가혹한 저주를 배웠어… 그게 무슨 뜻인지 알아?
처음에는 욕하는 버릇을 고치고 싶었어요. 나는 마음먹고 아이를 방으로 데려와(?) 구타를 당했다.
“너 방금 뭐라고 했어? 욕했어? 누가 그렇게 맹세합니까?”
그는 무자비하게 구타당하고 언어폭력을 당했습니다.
송아지를 몽둥이로 여러 번 때린 후 아이는 울고 불고 호들갑을 떨었습니다.
울어서 더 맞았다.
더 이상 욕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아이를 풀어주었다.
아이를 감정적으로 때린 느낌이 들어서 빨리 후회했습니다.
훈육의 중요성도 있지만 스트레스가 폭발하고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약간의 불만도 있었다.
그녀는 지팡이 흉터로 붉어진 아들의 다리에 약을 바르며 울었습니다.
우리 아들은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합니다.
당시 느꼈던 상처와 두려움을 생각하면 미안하고 부끄럽다.
내가 왜 이러지?
아들아, 엄마 미안해.
자라면서 기억이 별로 없어요. 부모님이 저를 벌주지 않으셨고 제가 잘못한 걸 빌고 채찍질을 당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두 아들은 혹독한(?) 대우를 받았다.
남편이 너무 온화하고 배려심이 많아서 아이들이 나쁜 버릇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내가 틀렸다.
아이를 키우면서 육아서적을 읽고 공부를 하다보니 나의 양육방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배우 김혜자 작가님의 꽃으로 날 때리지마’도 읽었다.
꽃으로 때려도 안 되는 아이 케인
엄마를 때린 이후로 엄마가 얼마나 무식(?)했는지 생각하고 있었다.
“한 번 맞고 나서 말을 듣는 아이는 다음에 두 번 맞을 때까지 말을 듣지 않는다”는 기사를 읽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 후 그는 막대기를 잡지도 않았고 아이를 만지지도 않았습니다.
속이 터졌지만 말로 꾸짖었다.
왕따를 당하긴 했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아이를 때려서 키워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절대 때리지마, 때리는 규율은 통하지 않을거야…
두 아들이 어린 시절의 아픈 기억을 잊은 건지, 아니면 잊은 척 하는 건지 모르겠다.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습니다.
엄마가 미안하다고…그때는 잘 몰라서 그랬다고 하더라구요.
어릴 적 꿈은 교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 꿈은 초등학교 4학년(지금의 초등학교)에서 무시무시한 선생님을 보고 산산이 부서졌다.
나는 아직도 그의 이름을 또렷이 기억한다.
박00
그가 아이들을 때릴 때 사용한 도구는 그가 신고 있던 슬리퍼였다.
그는 자기 앞에서 숙제를 안 하는 아이를 불렀다.
그는 불길한 표정을 지으며 아이의 왼쪽 뺨을 잡고 “어금니를 꽉 깨물어라”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눈을 감은 채 슬리퍼로 아이의 오른쪽 뺨을 때렸다.
“때리다”
교실 안의 아이들은 숨을 죽이고 공포의 시간을 견뎌야 했다.
그것은 끔찍했다.
“당신이 그렇게 소름끼치는 선생님이라면, 나는 선생님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
꿈과 직업이 바뀌었습니다.
교사에서 군인으로.
남편도 그런 선생님이 있다고 했어요.
선생님이었는데 플라스틱 자로 손톱 끝을 쳤다고 한다.
너무 아팠어… 이름이 생생하게 기억났어. 수십년이 흘렀지만 생생히 기억나는 상처이자 두려움이다.
그것이 우리 시대의 방식입니다.
선생님한테 맞고도 집에 가면 말도 못했어요. 네 말을 듣지 않았으니 네 말이 맞았겠지
선생님의 편에 선 학부모들이 많았는데요~ 오늘날에는 상상할 수 없는 시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제 나는 말할 수 있고 당신은 말해야 합니다
저희 엄마도 초보맘이라 다양한 실수와 실수를 하셨습니다.
그는 아들을 다치게 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합니다.
늦은 후회와 사과를 받아주세요.
나는 과거의 실수와 나에게 상처를 준 일들을 기억합니다.
상처보다 더.
매번 사과해야합니다.
실수에 대해 사과할 용기를 찾을 때입니다.
상대가 어린아이일지라도.
김태순의 브런치입니다.
직업군인(육군대위 해임)과 대한보훈회장으로 26년의 직장생활을 마치고 회사를 나와 현재 프리랜서로 텃밭을 가꾸고 있는 중년 여성이다.